본문 바로가기

Study/정보처리기사 실기

[정보처리기사 실기] 인터페이스 구현 _ 인터페이스 설계 확인

외부, 내부 모듈 간 공통 기능과 데이터 인터페이스 확인

- 공통 기능 : 내부, 외부 모듈의 기능 중 공통적으로 제공되는 기능

- 데이터 인터페이스 : 모듈 간 교환되는 데이터가 저장될 파라미터

 

1) 모듈 기능 확인

인터페이스 설계서에 정의된 모듈을 기반으로 내·외부 모듈 기능 확인

 

인터페이스 설계서 유형

① 시스템 인터페이스 설계서
② 정적, 동적 모형 인터페이스 설계서
③ 데이터 명세를 통한 인터페이스 설계서

 

시스템 인터페이스 설계서

- 이 기종 시스템 또는 컴포넌트 간 데이터 교환 및 처리 위한 목적으로 각 시스템 교환 데이터 및 업무, 송수신 주체 등 정의되어 있음

- 시스템 인터페이스 현황을 한눈에 확인하기 위해 한 시스템이 갖는 인터페이스 목록 및 각 인터페이스 상세 데이터 명세와 각 기능의 세부 인터페이스 정보를 정의한 문서


② 정적, 동적 모형 인터페이스 설계서

- 정적 모형 : 클래스 다이어그램

- 동적 모형 :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, 시퀀스 다이어그램


③ 데이터 명세를 통한 인터페이스 설계서

데이터 명세는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서비스에 대한 상세 명세를 표현하는 산출물로 서비스 목록, 인터페이스 방식 및 명세, 응답 형태까지 상세하게 표현


2) 모듈의 공통 기능 확인

외·내부 모듈 기능을 통해 공통적으로 제공되는 기능 확인


3) 확인된 인터페이스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

- 외·내부 모듈 기능과 공통 기능을 기반으로 데이터 인터페이스 확인

- 외부모듈에서 공통기능으로 입력되는 파라미터값이 인터페이스 입력값이 되고, 공통기능에서 출력되는 값이 인터페이스 처리 후 반환값 됨


외부, 내부 모듈 연계를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 식별

외부, 내부 모듈 연계 방법

1) EAI 방식

기업에서 운영되는 서로 다른 플랫폼 및 애플리케이션 간 정보를 통합 가능하도록 해주는 솔루션

  • 포인트 투 포인트 (Point to Point)
  • 허브 앤 스포크 (Hub&Spoke)
  • 메시지 버스 (Message Bus)
  • 하이브리드 (Hybrid)

2) ESB 방식

- 기업에서 운영되는 서로 다른 플랫폼 및 애플리케이션 간 하나의 시스템으로 관리 운영할 수 있도록 서비스 중심의

통합 지향하는 아키텍처

- 특정 서비스에 국한되지 않은 범용적 사용 위해 버스를 중심으로 애플리케이션과의 결합은 약하게 유지 (느슨한 결합)


외부, 내부 모듈 연계 기능 식별

1) 모듈 간 연계 기능 식별

식별된 공통 기능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및 내부 모듈과 *연계된 기능을 시나리오로 식별


2) 모듈 간 인터페이스 기능 식별

- 외부 모듈과 연계된 기능을 통한 인터페이스 기능 식별

- 내부 모듈과 연계된 기능을 통한 인터페이스 기능 식별

- 외부 및 내부 모듈과 연계된 기능 통한 인터페이스 기능 식별

 

외부 모듈과 연계된 인터페이스 기능 식별

- 전표 발생을 위한 필수 입력값을 외부 모듈로부터 수신

- 회계 시스템에서 전표 발생할 수 있도록 데이터 표준에 맞춰 요청


내부 모듈과 연계된 인터페이스 기능 식별

- 회계 시스템으로 전표 발생 요청받고 전표 발생

- 회계 시스템에서 발생한 전표 발생 작업 결과 수신


내·외부 모듈 간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 확인

1)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 확인

-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 확인은 상호 연계할 시스템 간 인터페이스되어야 할 범위 데이터 형식과 표준 정의하는 활동

-인터페이스 데이터 형태가 동일한 경우 그대로 전송, 동일하지 않는 경우 데이터 변환하여 전송


2)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 확인 절차

① 식별된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터페이스 표준 확인

② 인터페이스 기능 통한 인터페이스 데이터 항목 식별

③ 데이터 표준 최종 확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