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방통대 _ 컴퓨터과학과/생활과건강

(4)
[방송통신대학교 _ 컴퓨터과학과] 생활과건강 _ 신체건강 문제와 관리(1) _ 소화기계 건강문제 소화기계 해부생리소화과정- 음식물섭취 → 분해 (소화) → 혈액 속으로 이동 (흡수) → 흡수된 영양소는 각 조직 세포로 이동하여 에너지 공급- 물리적·화학적 과정을 소화과정이라 하며, 이에 관여하는 인체 구조물들 통틀어 소화기계라고 함소화기계소화관 (digestive tube)과 소화선 (digestive gland)로 구분소화관구강에서 시작해 인두, 식도, 위, 소장, 대장, 직장, 항문에 이르는 약 9m 긴 근육성 관소화선소화흡수 돕기 위해 필요한 물질 생산해 소화관으로 공급해 주는 침샘, 간, 담낭, 췌장 등입- 소화과정은 입에서 시작- 음식물 씹어 잘게 부숨- 침 속 소화효소가 탄수화물 일부 분해- 혀와 인두근육이 침 섞인 음식물 식도 통해 위로 보냄저작작용음식물 잘게 쪼개 음식 표면적 증가시킴..
[방송통신대학교 _ 컴퓨터과학과] 생활과건강 _ 신체건강 문제와 관리(1) _ 심뇌혈관계 건강문제 심장- 일생 동안 쉬지 않고 스스로 움직이는 근육성 펌프- 혈액이 들어오는 2개의 방과 혈액 내보내는 2개의 실로 되어 있음혈액 흐름- 좌심실에서 나온 동맥혈액은 동맥, 세동맥, 모세혈관 통해 전신에 산소와 영양소 공급하고, 조직에서 생기는 이산화탄소와 노폐물 걷어 가지고 모세혈관 정맥 타고 우심방으로 돌아옴- 순환은 출생 때부터 사망할 때까지 계속됨혈액 순환과정심장 좌심실 → 대동맥 → 동맥 → 세동맥 → 모세혈관 → 세정맥 → 정맥 → 대정맥 → 우심방 → 우심실 → 폐동맥 (가장 더러운 피) → 폐 → 폐정맥 (가장 깨끗한 피) → 좌심방 → 좌심실고혈압- 혈액을 순환시키는 원동력으로 심장에서 박출된 혈액이 동맥혈관 벽에 닿았을 때 형성되는 압력- 수축기 혈압 : 심장이 수축할 때 혈액이 혈관벽에 ..
[방송통신대학교] 생활과건강 _ 건강의 이해 _ 질병예방행위 & 건강정보 활용 예방행위- 질병 발생 줄이기 위한 건강증진활동- 개인이나 집단에 의해 수행되는 자발적 행위- 와이젠버그 예방적 건강관리 : 최적 건강상태 유지·증진시키고 건강으로부터 이탈 예방하며 발병 후 장애 예방하는 활동  - 1차, 2차, 3차 예방 세 가지 차원에서 이뤄짐 1차 예방단계내용질병예방행위1차 예방- 건강한 개인이 신체적·정신적 기능 최대한 발휘 할 수 있도록 질병 원인에 노출되지 않도록 특정 질병 발생 막거나 지연시키기 위한 것- 가장 이상적인 차원 예방- 목적 : 질병 원인이나 유발요인 통제, 조절함으로 질병 발생 사전 차단- 역학적 또는 임상적 연구 통해 밝혀진 통계적 연관성에 근거해 조절 가능한 위험요인 제거하는 활동- 예방접종- 안전벨트, 헬멧사용- 금연- 콘돔사용- 균형식 섭취 (저염, 저콜..
[방송통신대학교 _ 컴퓨터과학과] 생활과건강 _ 건강의 이해 _ 건강과 건강증진 건강의 개념건강- 질병이 없거나 허약하지 않은 상태- 임상적으로 질병이 발견되지 않아도 건강하다 할 수 없고, 현재 건강한 사람도 의학기술 발전하면 이상 발견될 수 있음히포크라테스 (고대 그리스)- 건강의 개념을 가장 먼저 총체적인 관점에서 본 사람- 인간 신체와 정신, 주변 환경과 기본적인 상호연관성 강조- 서양의학 뼈대 이룸데카르트 (17세기)- 기계론적 우주관- 건강은 질병 없는 상태 (이분법적 관점)- 인간을 생물학적 측면에서 일원적으로 해석- 인간 신체기관과 그 기관 부분에만 초점- 현대 질병과 건강관에 영향 미침세계보건기구 (World Health Organization, WHO) (20세기)- 총체론적 관점- 단지 허약하지 않은 상태나 병에 걸리지 않은 상태 뿐 아니라 신체적·정신적·사회적으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