심장
- 일생 동안 쉬지 않고 스스로 움직이는 근육성 펌프
- 혈액이 들어오는 2개의 방과 혈액 내보내는 2개의 실로 되어 있음
혈액 흐름
- 좌심실에서 나온 동맥혈액은 동맥, 세동맥, 모세혈관 통해 전신에 산소와 영양소 공급하고, 조직에서 생기는
이산화탄소와 노폐물 걷어 가지고 모세혈관 정맥 타고 우심방으로 돌아옴
- 순환은 출생 때부터 사망할 때까지 계속됨
혈액 순환과정
심장 좌심실 → 대동맥 → 동맥 → 세동맥 → 모세혈관 → 세정맥 → 정맥 → 대정맥 → 우심방 → 우심실 → 폐동맥 (가장 더러운 피) → 폐 → 폐정맥 (가장 깨끗한 피) → 좌심방 → 좌심실
고혈압
- 혈액을 순환시키는 원동력으로 심장에서 박출된 혈액이 동맥혈관 벽에 닿았을 때 형성되는 압력
- 수축기 혈압 : 심장이 수축할 때 혈액이 혈관벽에 부딪치는 힘
- 이완기 (확장기) 혈압 : 심장이 다시 혈액 채우기 위해 확장할 때 형성되는 압력
- 수축기 혈압 / 이완기 혈압 순서로 표기
고혈압 진단기준
- 혈압은 기분상태, 신체적 건강상태, 날씨 등 여러 오인에 의해 수시로 수치 변함
- 충분한 휴식 취한 상태에서 최소 2회 이상 측정해 평균혈압 구하는 방식 권장
혈압 분류 | 수축기 혈압 (mmHg) |
이완기 혈압 (mmHg) |
||
정상혈압 | < 120 | 그리고 | < 80 | |
주의혈압 | 120 ~ 129 | 그리고 | < 80 | |
고혈압 전 단계 | 130 ~ 139 | 또는 | 80 ~ 89 | |
고혈압 | 1기 | 140 ~ 159 | 또는 | 90 ~ 99 |
2기 | >= 160 | 또는 | >= 100 | |
수축기 단독 고혈압 | >= 140 | 그리고 | < 90 |
본태성 고혈압
- 전체 고혈압 환자 90 ~ 95% 차지
- 원인 아직 밝혀지지 않음
- 유발요인 : 유전, 스트레스, 식염 섭취량, 비만, 직업 등
속발성 고혈압
- 타 질병에 의해 2차적으로 발생한 고혈압
- 동맥경화증, 신장질환 등에 의해 발생
증상
- 초기 증상 없음 (침묵의 살인자)
- 이후 두통 (후두부), 현기증, 허약 등 나타남
- 혈압상승 그 자체보다 합병증으로 인한 사망률 높으므로 유의해야 함
- 합병증 : 뇌졸중, 협심증, 심근경색증, 심부전, 신부전, 안구내 출혈로 인한 시력소실 등
예방
- 정기검진 통해 조기 발견하는 것이 최선
- 고혈압 유발요인 피하는 것 좋음 (정기적 혈압검사, 처방 받은 혈압약 규칙적 복용, 올바른 식습관, 규칙적인 운동,
체중 조절, 술과 담배 제한, 카페인 섭취 제한, 스트레스 관리 등)
허혈성 심장질환
- 관상동맥 내벽에 콜레스테롤이나 지방 축적되어 혈관벽 두꺼워지고 딱딱해지면 (동맥경화증) 혈관 내공 좁아지고 심하면 완전히 막히는 현상 발생
- 심장근육이 혈액 충분히 공급받지 못하면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증 나타나는데, 이와 같이 심장에 혈류 부족해 발생하는 질병을 허혈성 심장병 또는 관상동맥질환이라 함
관상동맥
심장근육에 혈액 공급하는 혈관
허혈성 심장질환
병명 | 상태 및 증상 |
협심증 | - 심근에 일시적으로 혈액공급이 부족한 상태 - 갑작스럽게 흉골 밑에 조이는 듯한 심한 통증 느끼며, 통증은 왼쪽 어깨와 팔 또는 턱으로 퍼짐 - 통증 보통 30초 ~ 30분 정도 지속 - 활동량 증가, 추운 기후에 노출, 과식, 스트레스, 흡연 중 산소요구 증가될 때 악화 |
심근 경색증 | - 관상동맥이 막혀 혈액공급 차단되어 심근 괴사 일으킨 상태 - 흉통 : 협심증보다 강도 심하고, 지속시간 김 - 운동과 무관하게 발생할 때 많음 - 심근괴사로 심장리듬 장애나 부정맥, 심박출량 감소로 인한 쇼크 나타남 - 사망위험률 매우 높음 |
위험요인
고혈압 | 수축기 혈압 160mmHg, 이완기 혈압 95mmHg 이상일 경우 허혈성 심질환 위험 5배 이상 높음 |
연령 | 20 ~ 30대 허혈성 심질환 발병하기 시작하며, 관상동맥질환으로 인한 사망자 85%는 65세 이상 |
성별 | - 여성 < 남성 - 갱년기 이후 여성에게 허혈성 심질환 위험도 증가 (에스트로겐 분비 감소 때문) |
흡연 | 비흡연자 < 흡연자 심장마비 확률 2배 이상 높음 |
혈액 내 지방 | 콜레스테롤 240mg 이상일 경우 심장마비 위험성 2배 증가 |
비만 | 혈압상승, 고지혈증, 신체활동 감소 등 초래 |
기타 | 선척적 요인, 종족 (아프리카계 미국인), 생활양식 등 |
예방관리
- 허혈성 심장질환 위험인자 관리 및 생활양식 개선
- 통증 관리 : 협심증 (니트로글리세린 복용), 심근경색증 (모르핀 투여)
적극적 관리방법
관상동맥 풍선성형술 | 혈관 좁아진 부위에 풍선 달린 가느다란 카테터 넣은 후 풍선 부풀림으로써 좁아진 혈관 넓혀 주어 피 잘 통하도록 하는 것 |
스텐트 삽입술 | 가느다란 철망 (스텐트) 씌운 풍선으로 좁아진 부위 늘려 주어 병변 부위 다시 좁아지지 않도록 지지해 주는 방법 |
관상동맥 우회로술 | 좁아진 혈관 때문에 혈액공급 받지 못하는 부위에 피가 흘러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신체 다른 부위에서 혈관 떼어다가 관상동맥에 이어주는 수술로 일종의 샛길 만들어 주는 방법 |
'방통대 _ 컴퓨터과학과 > 생활과건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방송통신대학교 _ 컴퓨터과학과] 생활과건강 _ 신체건강 문제와 관리(1) _ 소화기계 건강문제 (4) | 2025.03.25 |
---|---|
[방송통신대학교] 생활과건강 _ 건강의 이해 _ 질병예방행위 & 건강정보 활용 (2) | 2025.03.06 |
[방송통신대학교 _ 컴퓨터과학과] 생활과건강 _ 건강의 이해 _ 건강과 건강증진 (0) | 2025.03.06 |